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은 1873년 교토에서 태어난 일본 제국의 황족으로, 육군 대장까지 진급했다. 그는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의 아들로,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독일 주재 무관으로 활동하며 군사적 경험을 쌓았다. 1928년에는 대만에서 독립운동가 조명하에게 암살 시도를 당했으나 살아남았고, 1929년 급성 내장 질환으로 사망하여 원수로 추증되었다. 그의 장녀인 나가코 여왕은 쇼와 천황의 황후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니노미야 -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은 후시미노미야 구니이에 친왕의 아들로, 막말 시대에는 공무합체파의 영수로 활동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구니노미야 가문을 창설하고 이세 신궁의 제주를 지냈다. - 구니노미야 - 타카 왕
타카 왕은 1875년 교토에서 태어나 1895년 귀족원 의원으로 선출되었고 이세 신궁의 대리 관리자 및 수석 신관을 역임했으며 1937년에 사망했다. - 일본의 왕 - 모치히토 왕
고시라카와 천황의 아들인 모치히토 왕은 미나모토노 요리마사와 함께 헤이케 타도를 계획하고 겐지들에게 영지를 내려 거병을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살해당했고, 그의 거병은 실패했지만 각지의 겐지들이 헤이케 멸망의 계기가 되었다. - 일본의 왕 - 아사카 야스히코
아사카 야스히코는 일본 황족 출신 군인으로 아사카노미야를 창설하고 육군 중장까지 진급했으나, 난징 대학살 연루 의혹과 전후 평민으로 강등된 후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여생을 보낸 인물이다. - 일본 제국의 외교관 - 스에마쓰 겐초
이토 히로부미의 사위인 스에마쓰 겐초는 일본 제국 의회 의원, 통신 대신, 내무 대신 등을 역임한 정치인이자, 러일 전쟁 시기 일본의 입장을 옹호한 외교관이었으며, 겐지 이야기를 영어로 번역하여 일본 문학을 세계에 알린 학자이다. - 일본 제국의 외교관 - 도미타 데쓰노스케
도미타 데쓰노스케는 센다이번 출신으로, 에도와 미국에서 학문을 연마하고 이와쿠라 사절단을 수행한 외교관이자 일본은행 초대 부총재, 제2대 총재를 역임하며 중앙은행 체제 구축에 기여했으며, 귀족원 칙선의원, 도쿄부 지사, 실업가로 활동하다 사망했다.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 |
작위 | 구니노미야 |
신분 | 왕 |
경칭 | 전하 |
출생일 | 1873년 7월 23일 |
출생지 | 일본 제국 교토 |
사망일 | 1929년 1월 27일 |
사망지 | 일본 제국 도쿄부 도쿄시 |
아버지 |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 |
어머니 | 이즈미데이 마키코 |
배우자 | 왕비 지카코 |
자녀 | 아사아키라 왕 구니히사 왕 나가코 여왕 노부코 여왕 사토코 여왕 구니히데 왕 |
![]() | |
왕위 계승 정보 | |
왕가 | 구니노미야 |
선임자 |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 |
후임자 | 구니 아사아키라 |
통치 기간 | 1891년 – 1929년 |
군사 경력 | |
소속 | 일본 제국 |
군종 | 일본제국 육군 |
복무 기간 | 1897년 – 1929년 |
최종 계급 | 원수 (겐스이) 육군 대장 |
참전 | 러일 전쟁 |
훈장 | |
훈장 내역 | 금치훈장 (4등) 국화대훈장 욱일장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 | Kuni-no-miya Kuniyoshi ō |
관련 인물 | 숭광 천황 (남계 17대손), 레이겐 천황 (여계 7대손) |
직책 | 군사참의관, 귀족원 황족 의원 (명목상) |
2. 생애
1891년 구니노미야 가를 계승한 구니요시 왕은 1896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1897년 육군 중위로 진급한 후 육군대학교를 졸업하고, 1899년 육군 대위가 되었다. 1904년 러일전쟁에 참전하여 육군 소좌로 진급하였다.
1907년부터 1910년까지 독일 제국에서 군사 전술을 연구하였으며, 항공 전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훗날 연합함대 사령장관이 되는 야마모토 이소로쿠를 후원하였다.
1913년 육군 소장으로 진급, 1923년 육군 대장으로 진급하였다. 1928년 타이완 타이중에서 조선의 독립운동가 조명하에게 피습당했으나 목숨을 건졌다.[14] 1929년 1월, 도쿄에서 급성 내장질환으로 사망하여, 사후 원수로 추증되었다.[14]
2. 1. 초기 생애
1873년 교토에서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구니노미야 가문의 후계자로 정해졌다. 가쿠슈인을 거쳐, 도쿄의 사립학교인 세이조 중학에서 공부했다.[5]아버지 아사히코 친왕이 많은 처첩을 거느렸기 때문에, 난징 대학살의 책임자 중 하나인 아사카노미야 야스히코 왕이나 훗날 일본 수상이 되는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 왕, 의민태자의 장인인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왕 등은 모두 그의 배다른 형제이다.
1891년 아버지 아사히코가 사망하자 구니노미야 가를 계승하였다.
2. 2. 군 경력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은 1891년 아버지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이 사망함에 따라 구니노미야 가를 계승하였다. 1896년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1897년 육군 중위 진급 이후 육군대학교를 졸업하고, 1899년 육군 대위가 되었다. 1904년 러일전쟁에 참전하여 육군 소좌로 진급하였다.[14] 러일 전쟁 동안 구로키 다메모토 장군 휘하 일본 제1군 사령부 참모로 배속되어 군공으로 금계훈장 (4등)을 수여받았다.[1]1907년부터 1910년까지 독일 제국에 파견되어 군사 전술을 공부하고 프로이센 근위 보병 연대 제2연대에 배속되었다. 1908년 4월 중령, 1910년 12월 대령으로 진급했다. 일본으로 돌아온 후 1913년 8월 육군 소장으로 진급하여 제38 보병 연대장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근위사단을 지휘했으며, 1917년 8월 육군 중장으로 진급하고 일본 제15사단 사령관이 되었다.[1]
1923년 8월 육군 대장으로 진급하고 일본 제국 육군 참모 본부의 구성원이 되었다. 그는 군사 항공의 초기 옹호자였으며, 훗날 일본 제국 해군의 제독이자 사령관이 된 야마모토 이소로쿠의 후원자였다.[1]
1928년 타이완의 타이중에서 조선의 독립운동가 조명하가 휘두른 독검에 맞았으나, 목숨을 건졌다.[14]
다음은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의 군 경력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 | 내용 |
---|---|
1896년 5월 | 일본 육군사관학교 졸업 (7기) |
1897년 1월 | 육군 보병 소위 임관, 보병 제6연대 부속 |
1899년 2월 | 육군 보병 중위 진급 |
1899년 12월 | 육군대학교 입학 |
1901년 3월 | 육군 보병 대위 진급 |
1902년 11월 | 육군대학교 졸업 (16기), 근위보병 제3연대 부속 |
1903년 11월 | 참모본부 근무 |
1904년 2월 | 참모본부원, 제1군 사령부 부속, 러일 전쟁 참전 |
1904년 11월 | 육군 보병 소령 진급 |
1907년 2월 | 유럽 파견 |
1908년 4월 | 육군 보병 중령 진급 |
1910년 5월 | 보병 제38연대 부속 |
1910년 12월 | 육군 보병 대령 진급, 보병 제38연대장 |
1913년 8월 | 육군 소장 진급, 근위 보병 제1여단장 |
1917년 8월 | 육군 중장 진급, 제15사단장 |
1918년 8월 | 근위사단장 |
1919년 11월 | 군사참의관 |
1923년 8월 | 육군 대장 진급 |
1929년 1월 | 원수 추서, 대훈위 국화대수경식 수여 |
2. 3. 조명하 의사 암살 시도 사건
1928년(쇼와 3년) 5월, 구니요시 왕은 대만 타이중에서 조선인 조명하에게 단도로 공격을 받았다. 이 사건은 타이중 불경 사건으로 불리며, 구니요시 왕은 다행히 무사하여 시찰을 계속했다.[6]2. 4. 사망
1928년 5월 14일, 타이완 타이중 시에서 조선의 독립운동가 조명하가 휘두른 독검에 맞았으나 목숨을 건졌다.[14] 1929년 1월 27일 도쿄에서 별장으로 가던 도중 급성 내장질환으로 사망했다고 발표되었고, 사후 원수로 추증되었다.[14]3. 궁중모중대사건
히로히토의 약혼녀로 내정되었던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의 첫째 딸 나가코의 혼인 파기설과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암살설이 나돌았던 사건이다. 이를 "궁중모중대사건(宮中某重大事件)"이라고 일컫는다.[3]
발단은 야마가타 아리토모가 나가코의 모계인 시마즈씨에 색맹 유전자가 있다는 것을 이시쿠로 다다노리에게 들었다고 주장한 데에서 시작되었다. 또한 나가코의 오빠 아사아키라가 가쿠슈인 재학 중 신체 검사 때 색약이 의심된다고 진단된 정보를 입수하여, 사이온지 긴모치 등의 원로들과 함께 천황가에 열성 유전자가 섞여서는 안 된다는 것에 동의했다. 이들은 구니노미야 가의 혼약을 파기하려고 하였다. 의사들은 나가코가 색맹이 아님을 확인했지만, 색맹 유전자를 보유했기 때문에 황실에 유전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3]
야마가타는 이런 진단을 듣고 구니요시에게 약혼을 파기하라고 협박했으나, 구니요시는 데이메이 황후에게 달려가 이를 일러바쳤다. 궁내성은 1921년 "나가코를 황태자비로 내정한 것에 관하여 세정에 이런저런 소문이 돌지만, 어명에는 어떤 변경도 없다"고 발표하였다.[3]
궁내성이 이를 발표했을 때는, 과격파가 야마가타와 당시 수상인 하라 다카시, 그밖의 황족을 암살하려 한다는 소문이 돌아서, 야마가타가 사건이 터지기 전에 이의 해결을 도모한 것이라고 한다.[3]
그러나 이는 보도 금지가 되었고, 신문은 단지 "궁중모중대사건"이라고 보도하여 진상이 밝혀지지 않아서, 세간에 이런저런 억측을 낳기도 하였다.[3]
4. 가족 관계
- 아버지: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
- 어머니: 이즈미 마키코
- 형제:
- * 남자: 구니노리 왕 - '''구니요시 왕''' - 모리마사 왕 - 타카 왕 - 쵸 왕 - (이름 미상) - 야스히코 왕 - 나루히코 왕
- * 여자: 토시코 궁 - 에이코 여왕 - 아키코 여왕 - 히로코 여왕 - 아야코 여왕 - 소코 여왕 - 카이코 여왕 - 스즈코 여왕 - 준코 여왕
- 부인: 시마즈 미치코 (사쓰마 번의 마지막 다이묘인 시마즈 타다요시 공작의 일곱째 딸)
- 자녀:
순서 | 이름 | 출생-사망 | 비고 |
---|---|---|---|
장남 | 아사아키라 왕 | 1901년 2월 2일 - 1959년 12월 3일 | 제3대 구니노미야 당주 |
차남 | 구니히사 왕 | 1902년 3월 20일 - 1935년 3월 5일 | 구니히사 후작 |
장녀 | 요시코 여왕 | 1903년 3월 6일 - 2000년 6월 16일 | 쇼와 천황의 황후 |
차녀 | 노부코 여왕 | 1904년 3월 30일 - 1945년 11월 8일 | 산조니시 마사토모 백작 부인 |
삼녀 | 토모코 여왕 | 1906년 9월 1일 - 1989년 11월 15일 | 진종오타니파히가시혼간지 24세 법주 오타니 코쇼 백작 부인 |
삼남 | 구니히데 왕 | 1910년 5월 10일 - 2014년 1월 1일 | 히가시후시미 구니히데 백작, 천태종쇼렌인 몬세키 48세 몬슈 |
1889년 12월 13일, 구니노미야 구니요시 왕은 사쓰마 번의 마지막 다이묘인 시마즈 타다요시 공작의 일곱째 딸인 시마즈 치카코(1879년 10월 19일 – 1956년 9월 9일)와 결혼했다. 이 결혼은 황실과 사쓰마 씨족 간의 동맹을 나타냈다. 구니요시 왕은 아키히토 상왕의 외할아버지가 된다.
참조
[1]
뉴스
Taiwan in Time: A royal assassination attempt
https://taipeitimes.[...]
2022-05-08
[2]
서적
明治時代の勲章外交儀礼
http://meijiseitoku.[...]
明治聖徳記念学会紀要
[3]
간행물
London Gazette
1909-07-23
[4]
웹사이트
Guía oficial de España, 1930. P.221
http://hemerotecadig[...]
[5]
서적
『議会制度百年史 - 貴族院・参議院議員名鑑』3頁
[6]
뉴스
岡崎公会堂で開会式『大阪毎日新聞』昭和3年9月21日夕刊*(『昭和ニュース事典第1巻 昭和元年-昭和3年』本編p163 昭和ニュース事典編纂委員会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刊 1994年)
大阪毎日新聞
1928-09-21
[7]
간행물
『官報』第3106号「叙任及辞令」
1893-11-04
[8]
간행물
『官報』第6103号「叙任及辞令」明治36年11月4日
1903-11-04
[9]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明治39年12月30日
1906-12-30
[10]
간행물
London Gazette
1909-07-23
[11]
간행물
『官報』第2612号「叙任及辞令」
1921-04-19
[12]
간행물
『官報』号外「叙任及辞令」
1929-01-27
[13]
서적
闘う皇族 ある宮家の三代
角川書店
[14]
출처
2017-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